반응형
밤이 되면 눈이 안뜨진다고 표현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. 물론 졸려서 그럴 수도 있지만요. ^^ 전날 푹 잤다고 하더라도, 밤이 되면 말 그래도 눈이 안 뜨지고 힘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. 밤에 안 보인다고 해서 야맹증은 아닙니다.
1. 눈의 피로 (안구 피로)
- 설명: 낮 동안 컴퓨터, 스마트폰, 조명 등에 노출되면서 눈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면, 밤에는 눈을 크게 뜨는 것조차 힘들 수 있어요.
- 증상: 눈꺼풀이 무겁게 느껴짐, 눈 따가움, 이물감 등.
2. 야맹증 (밤에 시력이 더 나빠짐)
- 설명: 어두운 환경에서 시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질환. 비타민 A 결핍이나 망막 문제와 연관 있음.
- 증상: 불빛이 적은 곳에서 시야가 흐려짐, 밤에 길이나 계단에서 잘 못 보거나 부딪힘 등.
하지만 야맹증이라면 ‘눈이 무거운 느낌’보다는 ‘어두운 곳에서 안 보이는 것’이 핵심 증상이에요. 눈을 크게 못 뜨는 것과는 좀 다를 수 있습니다.
3. 안검하수(눈꺼풀 처짐) 또는 안검연축(눈꺼풀 근육 이상)
- 설명: 눈꺼풀을 들어올리는 근육이 약하거나, 눈 주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는 경우.
- 증상: 눈이 자주 감기거나 무거운 느낌, 눈꺼풀이 내려앉는 듯한 느낌.
4. 눈 건조증 (안구건조증)
- 설명: 눈이 마르면 눈을 자꾸 감게 되고, 특히 밤에는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아요.
- 증상: 이물감, 눈 시림, 눈이 뻑뻑해서 크게 못 뜨는 느낌.
5. 전신 피로 또는 수면 부족
- 설명: 실제로 졸리지 않아도 몸이 피곤하면 눈꺼풀이 무겁게 느껴질 수 있어요.
- 해결: 충분한 수면, 눈 휴식, 블루라이트 차단 등으로 개선 가능.
6. 근시나 난시, 노안 등의 시력 이상
- 눈에 무리가 가면 밤에 눈을 크게 뜨는 것조차 힘들게 느껴질 수 있어요. 특히 난시가 있으면 야간에 눈이 더 피곤해질 수 있습니다.
그렇다면 무엇을 해야할까요?
- 일단 안과 진료를 받아보는 게 가장 좋아요. 시력, 망막, 눈물양 등을 확인해 볼 수 있어요.
- 눈 휴식을 자주 주세요. 스마트폰이나 모니터를 오래 보지 않도록 해보세요.
- 인공눈물 사용이나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.
- 비타민 A가 부족한 식사는 아닌지도 점검해 보세요.
반응형
'의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암학회 기간 ? (0) | 2022.04.09 |
---|---|
코로나 오미크론 확산 상하이는 봉쇄중 (0) | 2022.03.31 |
발가락 곪았을 때 응급처치 방법 (0) | 2022.03.12 |
일반의약품, 전문의약품, 건강기능성 제품의 차이점 (0) | 2022.03.12 |
사춘기 여학생 어지름증 빈혈일까요 (0) | 2022.03.06 |
댓글